
주말에 큰 사건이 있었네요
SVB(Silicon Valley Bank)사태
SVB는 실시콘밸리에 있는 벤처 기업들을 주고객으로 하는 은행입니다.
이번 사태의 본질은 긴축재정발 금리인상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양적완화까지도...
* 코로나 팬데믹이후 금리 인하 및 양적완화 정책으로 인한 유동성 확대
* 벤처기업들로 투자금 몰림
* SVB로 자금 유입
* 대출 수요는 감소하고 예금은 넘쳐남
* SVB 채권투자
* 연준의 유동성 회수 및 금리 인상 시작
* 채권가격 하락
* 고금리로 실리콘밸리 투자금 유입 축소
* 긴축정책으로 벤처기업 자금난.
* 기업들 운영자금 마련위해 예금 인출
* 신규 자금 유입이 없던 SVB는 인출금 마련하기 위해 주력 투자 portpolio였던 미국국채 채권 매각 손실확정
* 무디스에서 신용등급 강등
* 금리인상으로 채권 가격은 하락된 상태고 SVB손실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죠
* 이에 유상증자를 시도하려 했으나, 돈도 못버는데 무슨 유상증자? 주가가 폭락하고 뱅크런
* SVB매각 모색했으나 금융당국 파산선고 땅땅땅!!! (역사상 두번째로 큰 규모의 은행 파산)
예금자에 대해서는 FED가 100% 지급보증해주기로 함.
SVB파산 후 시크니처 은행도 폐쇄하였는데요 이 역시 예금은 지급보증해주기로 함

금리의 급격한 인상으로 인해 촉발된 사태라 FED 비난 중이며, 이번 건으로 인해 금리 상승 억제 시키는 역할도 좀 할 것 같습니다.
우리 연기금도 약 3200억 물렸다고 하는데, 별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걍 달러 막 찍어서 갚아주나.. ;;;
금리와 채권의 관계는
역함수의 관계로 규정할 수 있는데
간단히 설명하면
30년 만기 3%짜리에 1000만원 투자했다고 보면
금리가 2%로 하락시 기존 3%짜리가 더 메리트가 있기에 이쪽으로 투자자들이 몰리게 되고 그러면 1000만원에 프리미엄을 붙여서라도 사는 이런 구조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금리 하락 - 채권가격 상승
금리 상승 - 채권가격 하락
파장이 확산되지 않기만을 바랍니다.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길
주식시장도 크게 동요하지 않는 분위기네요
이상 간단히 SVB사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