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세가와 매매가의 상관관계는 상당히 중요한 지표이다.
전세가율이 받쳐줘야 상승으로의 반전이
상승장에서는 전세가율이 낮아질 수 밖에 없고, 하락장의 끝을 전세가율 상승으로 가늠하면 된다.
매매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경우 매수자의 입장에서는 추가 하락의 우려로 인해 전세로 몰리게 되고 그로 인해 전세가가 상승, 매매가 하락과 전세가 상승의 콜라보로 인하여 전세가율은 상승. 즉 하락장에서 분위기 반전을 캐치하는 신호의 하나로 전세가율을 활용하는 것은 꽤나 의미 있는 지표일 것이다.
상승장의 끝을 가늠할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
매매가가 상승하는 경우 전세가도 동반상승해줘야 지속적인 상승이 가능하나 매매가와 전세가의 갭이 커질 수록 추가 매수자에겐 부담이 되므로 매수를 주저하게 된다. 이는 전세가율의 하락으로 이어지게되고, 수요 감소의 효과를 불러일으켜 상승의 끝으로 귀결 될 것이다.
이외에도 부동산의 가격을 결정하는 무수히 많은 지표들이 있겠지만 전세가율은 특히나 중요한 요소로 소득의 효과도 이것에 의해 나타난다.
데이터들은 돌고 돌아 한 곳에 수렴한다.
하나의 지표만으로 섣부른 판단을 하면 당연히 큰 리스크를 지게되기에 다양한 지표를 보고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안목을 키워야 할 것이다.
거래량. 매매가격지수, 소득과의 상관관계, 인구증감. 전세가율, 금리, 세계 경기, 정책, 세금.. 등등 무수히 많은 지표들을 일일히 다 해석해내기는 어렵겠으나 제너럴리스트의 관점으로 정보를 소화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1. 전세가율
전월 : + 경기 / - 나머지
금월 : + 서울, 세종 / - 전국, 경기, 인천, 대구, 부산
지역명
|
2023-07(A)
|
2023-08(B)
|
증감(B-A)
|
전국
|
65.87234
|
65.80494
|
-0.06741
|
서울
|
50.93874
|
50.991
|
0.052259
|
경기
|
62.59467
|
62.58521
|
-0.00946
|
인천
|
64.11147
|
63.96577
|
-0.1457
|
세종
|
45.10938
|
45.22623
|
0.116853
|
대구
|
68.889
|
68.6443
|
-0.24469
|
부산
|
62.79106
|
62.7512
|
-0.03987
|
2. 전세가격지수
전월 : +세종 / - 나머지
금월 : +서울, 경기, 세종 / - 전국, 인천, 대구, 부산
지역명
|
2023-07(A)
|
2023-08(B)
|
증감(B-A)
|
전국
|
87.68888
|
87.60531
|
-0.08357
|
서울
|
84.52346
|
84.55387
|
0.030409
|
경기
|
82.6522
|
82.77258
|
0.12038
|
인천
|
81.99808
|
81.80637
|
-0.19171
|
세종
|
79.36782
|
80.03598
|
0.668155
|
대구
|
80.72965
|
80.33321
|
-0.39644
|
부산
|
89.82088
|
89.52638
|
-0.2945
|
3. 매매가격지수
전월 : +세종 / -나머지
금월 : +경기, 세종 / -전국, 서울, 인천, 대구, 부산
지역명
|
2023-07(A)
|
2023-08(B)
|
증감(B-A)
|
전국
|
90.08914
|
90.01177
|
-0.07737
|
서울
|
90.38963
|
90.33858
|
-0.05105
|
경기
|
85.96957
|
86.01441
|
0.04484
|
인천
|
84.67228
|
84.52867
|
-0.14361
|
세종
|
83.08393
|
83.52926
|
0.445323
|
대구
|
85.07976
|
84.81572
|
-0.26404
|
부산
|
90.92826
|
90.65701
|
-0.27124
|
전국
전월 : 3가지 지표 모두 하락 중. 아직 하락 추세가 끝나지 않았다는 것
금월 : 차츰 안정세. 전세가율도 그렇고 추가 하락은 없는 것인가? 서울 경기의 영향인가...

서울
전월 : 3가지 지표 모두 하락 중. 아직 하락 추세가 끝나지 않았다는 것. 전세가율이 2개월 살짝 오르다가 다시 살짝 하락으로
금월 : 매매가는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고 전세가도 슬슬 그러는 듯. 전세가율이 몇달 동안 안정적인 흐름을 봉이는 건 긍정적인 신호로 보이는..

경기
전월 : 경기의 전세가율은 4개월째 상승 중. 매매가와 전세가는 계속 하락 중임. 매매가가 전세가보다 더 떨어져서 하락 중인... 매매가가 안정되고 전세가가 상승하여 전세가율이 상승하는 시점이 하락장의 끝일 것인가.
금월 : 하락이 진정되고 있고 전세가율은 상승하는 모양새라 분위기 좋아 보이는

인천
전월 : 3대지표 모두 하락 중
금월 : 매매가와 전세가가 동반하락. 전세가율도 하락. 좋지 않은 분위기

세종
전월 : 매매가와 전세가 상승 전환. 전세가율은 하락 지속. .매매가가 전세가보다 더 올라 버려서. 전세가율이 상승하는 시점에 매매가와 전세가가 살짝 상승했다가 매매가의 상승폭이 더 커 상대적으로 덜 상승폭이 적은 전세가로 인하여 전세가율이 하락한 듯한 모양새
금월 : 매매가와 전세가가 같이 상승으로 전환되었는데 전세가율은 하락하는 모양새. 당연히 가격이 상승하면 전세가율은 하락하는 것이고, 전세가가 받쳐줘서 전세가율도 같이 상승해야 안정적일 텐데. 전세가도 상승하긴 하나 비율 관점에서 좀 부족해 보이는. 갭투자가 어려운. 투자자가 모여들기 어려운

대구
전월 : 3대지표 모두 하락 지속...
금월 : 전세가율 하락이 가파르다.. 당분간 상승을 기대하긴 어려운 것인가..

부산
전월 : 매매가 전세가는 하락. 전세가율은 상승.... 기회가 오는 것인가... 전세가의 상승 시점 체크 필요
금월 : 전세가율은 흐름은 나쁘지 않아 보이는데. 가격이 안정될때까지..

데이터출처 : KB부동산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증감율(9/18) (0) | 2023.09.23 |
---|---|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2308) (0) | 2023.09.16 |
월간매매가격지수 & 증감율(23.08) (0) | 2023.09.16 |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증감율(9/11) (0) | 2023.09.16 |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증감율(9/4) (0) | 2023.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