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동산

전세가율&전세가&매매가격지수(23.08) 전세가와 매매가의 상관관계는 상당히 중요한 지표이다. 전세가율이 받쳐줘야 상승으로의 반전이 상승장에서는 전세가율이 낮아질 수 밖에 없고, 하락장의 끝을 전세가율 상승으로 가늠하면 된다. 매매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경우 매수자의 입장에서는 추가 하락의 우려로 인해 전세로 몰리게 되고 그로 인해 전세가가 상승, 매매가 하락과 전세가 상승의 콜라보로 인하여 전세가율은 상승. 즉 하락장에서 분위기 반전을 캐치하는 신호의 하나로 전세가율을 활용하는 것은 꽤나 의미 있는 지표일 것이다. 상승장의 끝을 가늠할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 매매가가 상승하는 경우 전세가도 동반상승해줘야 지속적인 상승이 가능하나 매매가와 전세가의 갭이 커질 수록 추가 매수자에겐 부담이 되므로 매수를 주저하게 된다. 이는 전세가율의 하락으로 .. 더보기
월간매매가격지수 & 증감율(23.08) 23년 8월 기준 월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와 증감율 입니다. 상승으로의 전환이 가까워 옵니다. ​ ​ 매매가격지수 표입니다. 7월 : 전체가 하락 지속이긴 하나 주간기준으로는 세종을 비롯하여 상방으로의 전환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8월 : 경기와 세종은 상승으로 전환되었네요, 주간 기준 대구, 부산 제외하곤 상승분위기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지역명 2023-07(A) 2023-08(B) 증감(B-A) 전국 90.08914 90.01177 -0.07737 서울 90.38963 90.33858 -0.05105 경기 85.96957 86.01441 0.04484 인천 84.67228 84.52867 -0.14361 세종 83.08393 83.52926 0.445323 대구 85.07976 84.81572 -0.2.. 더보기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증감율(9/1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와 증감율 입니다. 9/4 대비 9/11 입니다. ​전주comment : 인천이 다시 하락으로 전환되었고, 경기와 세종을 제외하고는 증감율은 전부 하락으로 반전. 상승 전환으로 보기엔 한계가 있고 실제 필드에서의 분위기도 제한되는 듯함. ​ 금주comment : 대구 부산 제외 모두 상승으로. ​ 매매가격지수 표입니다. 전주 : +전국,서울,경기,세종 / - 인천, 대구, 부산, 금주 : +전국,서울,경기,세종, 인천 / - 대구, 부산, 지역명 2023-9-4(A) 2023-9-11(B) 증감(B-A) 전국 90.065 90.088 0.023 서울 90.511 90.578 0.067 경기 86.155 86.207 0.052 인천 84.546 84.554 0.008 세종 83.64.. 더보기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증감율(9/4)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와 증감율 입니다. 8/28 대비 9/4 입니다. ​전주comment : 계속 상승. 대구 부산은.. 경상도는 아직 멀었나. 대구는 공급, 인천도 공급이 많은데 상승으로. 시장의 심리 ​ 금주comment : 인천이 다시 하락으로 전환되었고, 경기와 세종을 제외하고는 증감율은 전부 하락으로 반전. 상승 전환으로 보기엔 한계가 있고 실제 필드에서의 분위기도 제한되는 듯함. ​ 매매가격지수 표입니다. 전주 : +전국,서울,경기,세종,인천 / - 대구, 부산 금주 : +전국,서울,경기,세종 / - 인천, 대구, 부산, 지역명 2023-8-28(A) 2023-9-4(B) 증감(B-A) 전국 90.05 90.065 0.015 서울 90.476 90.511 0.035 경기 86.1 86.15.. 더보기
GH, 경기도형 공공분양주택 ‘지분적립형’ 분양주택 도입 경기도에서 공공분양주택의 일부를 지분적립형 주택으로 건립한다고 합니다. 현재 지속적으로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시행하고자 하는 정책으로 적금처럼 돈을 납입하여 주택 지분을 차곡차곡 쌓아 결국 자기 소유로 만든다는 것인데요, 전매제한 기간이 끝나면 매매도 가능합니다. 매매 시 이윤은 매매당시의 지분율 기준으로 정부와 나눠 갖는것이고. 적금으로 지분을 획득하는 것과 주담대를 받아서 이자를 내는것의 장단점을 비교해보고 판단해야 겠습니다. 집값 상승이 예측된다면 당연히 주담대로 주택 구입하고 수익 100% 내가 가져오는 것이 재테크 관점에서 이득일텐데 거주의무 5년에 전매제한도 10년이라 기회비용 측면에서도 너무 가혹해 보이기도 하고, 재테크 이런거 난 관심없이 그냥 내집 하나 그냥 그렇.. 더보기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증감율(8/28)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와 증감율 입니다. 8/21 대비 8/28 입니다. 공급의 영향은 실로 지대한 것 같습니다. 연일 상승한다고 언론에서는 난리인데 실제 체감을 어떨지 똘똘한 한채에서 파생되는 여러가지 효과들로 인하여 시장을 왜곡시키는 기사들을 쏟아내는건 아닌지 초저금리의 시대에 비교하면 금리의 부담은 여전하고, 상승된 물가로 인해 실질소득은 훨씬 더 줄어든 느낌입니다. 언론의 갖은 감언이설로 인하여 영끌의 유혹은 더 심해지는 것 같고 마치 정말 대세전환이 일어난 것인냥... 내년 총선까진 절대 하락의 기조로 전환 될 일은 없을 것 같긴하나 급격한 상승도 없을 것 같습니다. 소득 대비 나의 부담이 더 커진 상황 요즘 각종 온라인 부업들이 유행하고 과거와는 달리 재택하면서 돈 벌 수단이 많아져 소득이 .. 더보기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증감율(5/29)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와 증감율 입니다. 5/22 대비 5/29 입니다. 여전히 하락 추세이나 증감율은 인천 제외 모두 양으로 전환 ​ ​ 매매가격지수 표입니다. 지역명 2023-05-22(A) 2023-05-29(B) 증감(B-A) 전국 90.5479961 90.4821283 -0.06587 서울 90.7551484 90.7191689 -0.03598 세종 82.5712191 86.3331473 -0.07937 경기 86.4125159 85.072763 -0.05336 인천 85.1261242 82.526112 -0.04511 대구 85.9435426 85.8374693 -0.10607 부산 91.6519324 91.5585222 -0.09341 지역명 2023.. 더보기
복기_경매_2022타경53446 (광명_철산_아파트) 감평 : 22년 4월 18일 엄청 비쌀때 감평된거라 감정가보고 들어가면 대략 낭패 대항력 없고.. 특이사항 없음 고가 대비 2억 정도 빠진 가격 4.2억에 낙찰이라. 비조정지역이라 2주택이라 치고 취득세 기본세율.. 경락대출 70%치면 현금 1.3-1.4억 정도 넣어야 하고.. 월세 세팅 될 것도 아니고. 전세가율도 60~70%라.. 장기보유X 단기매도 4.5억 한다치면 양도세 70% 떼고 나면 수익.. 몇백...(3??) 뭘 하든지 양도세 내면 암것도 안되지... 양도세 빨리 완화시켜라!!! 더보기

반응형